Layer 7 23

[GIT] git 보고서

(1) git의 역사git은 리눅스 커널을 만들때 코드의 유지보수, 관리를 위해 만든 소프트웨어이다.리눅스 커널을 만들때, 리누스 토르발즈와 많은 사람들은 몇천만줄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코드를 작성하였는데,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 리누스 토르발즈가 처음으로 개발하였다.지금은 수많은 사람들이 git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2) git이란?git은 위에서 설명했듯이 프로그램 등의 소스 코드 관리를 위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몇몇 사이트들의 예를 인용해서 설명하면.. 발표code.cpp발표code최종.cpp발표code최종최종.cpp발표code진짜최종최종.cpp :: 와 같은 사례를 막기 위한것이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라고 생각하면 편할것 같다. git의 특징중 하나는 데이터를 변경할 때 마다 어떠한..

Layer 7/assignment 2019.06.10

[Linux] 리눅스 보고서

[1] 리눅스와 윈도우의 차이점?(1) CUI와 GUI의 차이우리가 모두 알고있듯이 윈도우 OS는 GUI (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 )를 사용하고, 리눅스 OS는 CUI ( 커맨드 기반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 처음 시작할때의 진입장벽은 CUI쪽이 조금 더 높을 수 있다고 해도, 리눅스의 여러가지 명령어의 사용이 숙달된 상태라면, CUI가 더 편할정도로 사용할 수 있다.예를 하나 들어보자. 윈도우에서 파일을 다운받으려면 크롬을 키고, 검색을 하고, 사이트에 들어가서, 파일을 찾고 다운로드 하여야 한다. 하지만 리눅스 같은 경우에는 명령어 한 줄 (sudo apt-get install 원하는파일) 로 다운받을수 있다. (2) 다중사용자와 단일사용자와의 차이리눅스는 OS를 설계할 당시부터 한 운영체제에 여..

Layer 7/assignment 2019.05.26

[C] 동적할당 보고서

[1] 동적할당 vs 정적할당 정적할당이란 프로그램이 시작되기전에 결정되는 메모리를 말한다.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도중에 크기가 변경될 수 없으며, 처음 결정된 크기보다 더 큰 입력이 들어오면 오버플로우가 일어나 다른 메모리의 주소가 변조될수있다. 처음 결정된 크기보다 더 작은 입력이 들어온다면, 남은 메모리는 낭비된다.프로그램이 종료되어야 메모리가 해제된다.이렇게 정적할당으로 결정된 메모리는 스택에 저장된다.https://sunrinjuntae.tistory.com/25스택과 힙이 무엇인지는 여기서!! 동적할당은 사용자가 프로그램의 실행도중에 메모리를 할당 받는것이다.필요한 만큼만 할당을 받고, 또 원할때 사용하고 반납할수있다. 메모리를 절대로 낭비하지 않을수있으며, 메모리를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수있다...

Layer 7/assignment 2019.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