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yer 7 23

[C] 포인터 보고서

[1] 포인터는 뭘까? 먼저 주소값이란 뭘까?데이터의 주소값이란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의 시작 주소를 의미한다.C언어에서는 이러한 주소값을 1바이트 크기의 메모리 공간으로 나누어 표현한다. 예를 들어, int형 데이터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지지만, char형 데이터의 주소값은 시작 주소 1바이트만을 가리킨다.이를 이해하였으면 다음의 예제를 보자.다음의 예제를 보자.12345678910111213141516#include int main(){ int a; printf(" 변수 a를 입력하세요 : "); scanf("%d",&a); // a 입력 int *pa=&a; // pa라는 포인터변수에 a의 시작주소 저장 // * 는 역참조 연산자로 해당 메모리주소에 있는 값을 말한다. // & 는 참조 연산자..

Layer 7/assignment 2019.04.03

[C] 함수 보고서

[1] 함수는 뭐고, 이러한 함수를 왜 활용하는것일까 ? 우리가 코딩할때 무의식적으로 쓰는 #include 가 무슨의미일까?그리고 printf, scanf같이 명령어같은 친구들은 도대체 뭘까?여러분들은 이미 그 답을 알고있을 것이다.위의 그림은 stdio.h에 포함되어있는 함수의 목록이다. 이렇게 printf, scanf는 바로 함수이다. 함수는 수학적인 함수와 비슷한 의미이다. 사용자가 정의한대로 그 기능이 실행된다.#include 는 이러한 함수를 모아서 하나의 헤더파일로 만든 stdio.h 를 소스에 포함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할때 stdio 에 있는 함수를 사용할수있도록 해주는것이다.위에서 함수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이제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와 함수의 특징을 설명해보겠다.첫번째 특징은 함수의..

Layer 7/assignment 2019.04.03

[C] 배열 보고서

[1] 배열은 뭘까? 배열은 같은 자료형을 가진 여러개의 변수를 한번에 선언한 연속된 메모리 공간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이다. 예를들어, 시험 결과 10개를 선언해야한다고 해보자. int num = 100 ; int num2 = 70 ; : : int name10 = 95 ; 라고 선언할 것이다. 하지만 배열을 이용한다면 10개의 변수를 쉽게 한번에 선언할 수 있다. [2] 배열의 선언 방법과 인덱스 (예제 1) #include int main(void) { int num[10] = { 100, 70, 50, 60, 80, 70, 95, 90, 85, 90 } ; printf("%d ", num[0]); printf("%d ", num[7]); printf("%d ", num[9]); printf("%d ..

Layer 7/assignment 2019.03.30

[C] 3개의 정수를 입력하여 최댓값과 최솟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 - switch / case 문

123456789101112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3개의 정수를 입력받고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해주는 프로그램//Layer7 10112#include #include int main(){ int a,b,c; int max,min; printf("3개의 정수를 입력하세요. : "); scanf("%d %d %d",&a,&b,&c); switch((a-b)>0) { case 0: max=b; min=a; break; case 1: max=a; min=b; break; } switch((min-c)>0) // 최소값 { case 0: min=min; break; case 1: min=c; break; }..

Layer 7/assignment 2019.03.22